엎친데 덮친격 뜻 엎친데 덮친다 유사속담 엎친데 덮친격 이라는 말이 있는데요, 엎친데 덮친격은 어떤 뜻일까요? 엎친데 덮친격 뜻, 엎친데 덮친다 유사속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어려운 일이나 나쁜 일이 거듭해서 일어남을 뜻합니다. 즉, 어려운 일이나 나쁜 일이 생겼는데, 또 어려운 일이나 나쁜 일이 더 생겼다는 뜻입니다. (예) 그는 교통사고를 당했는데, 엎친데 덮친격으로 직장에서 해고까지 되었다.(예) 그녀는 얼마전에 이혼을 했는데, 엎친데 덮친격으로 친정 엄마까지 돌아가셨다.(예) 친구는 얼마전에 사기를 당했는데, 엎친데 덮친격으로 회사까지 부도가 났다.① 갈수록 태산.일의 형세가 갈수록 점점 더 힘들어진다는 뜻입니다. ② 귀신을 피하려다 호랑이를 만난다.좋지 않은 일을 피하려다가 그보다 더 불행한 일을 당한다는 뜻입니다. ③ 넘길수록 산.. 성어속담 2025. 2. 7.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는 무엇일까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속담은 '옳고 그름이나 신의를 돌보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을 찾는다'는 뜻인데요, 이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는 '감탄고토(甘呑苦吐)'입니다. 감탄고토(甘呑苦吐)는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다는 말로, 옳고 그름과는 관계없이 자신의 비위에 맞으면 좋아하고 그렇지 않으면 배척하며 싫어한다는 뜻입니다. 감탄고토(甘呑苦吐)하는 사람은 옳고 그름과는 전혀 관계없이 자신에게 잘 맞거나 이익이 되면 좋아하고, 자신에게 맞지 않거나 이익이 안된다면 그것이 올바르거나 진실이고 도리일지라도 싫어하며 무시하고 자신에게 도움이 되는 쪽.. 성어속담 2025. 1. 4. 절치부심 뜻 절치부심 유래 뉴스나 기사에서 '절치부심'이라는 단어를 한번쯤 들어보셨을텐데요, 절치부심은 어떤 뜻일까요? 절치부심 뜻, 절치부심 유래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절치부심(切齒腐心)의 사전적 의미는 '이를 갈고 마음을 썩이면서 힘을 길러 후일을 기약한다'입니다. 이와 비슷한 사자성어로는 '와신상담(臥薪嘗膽)'이 있는데요, 이 또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딘다'는 뜻입니다. 절치부심(切齒腐心)은 '몹시 분하여 이를 갈며 속을 썩인다'는 뜻으로, 복수심에 불타는 모습을 묘사하는 고사성어입니다. '절치부심(切齒腐心)'의 개별 한자의 뜻은 (切 : 끊을 절) (齒 : 이 치) (腐 : 썩을 부) (心 : 마음 심)입니다.'절치부심'이라는 표현은 중국의 역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표현의 기원은 기.. 성어속담 2024. 12. 9. 친한친구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절친한 친구를 뜻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친한친구 사자성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① 간담상조(肝膽相照)간과 쓸개를 서로 꺼내보일 정도로 서로 마음을 터넣고 사귀는 매우 친한 사이. ② 금석지교(金石之交)쇠와 돌이 단단한 것처럼 서로 믿음이 매우 단단한 사이. ③ 교칠지교(膠漆之交)너무나 친해서 도저히 떨어질 수 없는 사이. ④ 단금지교(斷金之交)쇠를 끊을 수 있을 정도로 매우 단단한 우정을 지닌 사이. ⑤ 막역지간(莫逆之間)거스릴 것이 없어 허물없이 지내는 너무나 가까운 사이. ⑥ 막역지교(莫逆之交)서로 뜻이 잘 맞고 허물이 없는 매우 친한 사이. ⑦ 막역지우(莫逆之友)거슬릴 것이 없어 허물없이 지내는 매우 가까운 친구. ⑧ 문경지교(刎頸之交)죽고 살기를 함께 할만큼 정말로.. 성어속담 2024. 10. 26. 사람 관계 사자성어 참고하세요 사람 관계에 관한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사람 관계 사자성어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간담상조(肝膽相照)서로 마음을 터놓고 사귄다는 뜻. 2. 거자필반(去者必返)헤어진 사람은 언젠가 반드시 돌아와 만나게 된다는 뜻. 3. 막역지간(莫逆之間)서로 허물없는 매우 가까운 친구 사이라는 뜻. 4. 문경지교(刎頸之交)죽고 살기를 함께 할만큼 아주 친한 사이라는 뜻. 5. 부창부수(夫唱婦隨)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른다는 뜻. 6. 수어지교(水魚之交)물과 물고기의 관계처럼 서로 뗄 수 없는 사이라는 뜻. 7. 오월동주(吳越同舟)서로 나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같은 처지에 놓여 어쩔 수 없이 협력해야 하는 상태가 되거나, 원수끼리 서로 마주치게 된다는 뜻. 8. 이자정회(離者定會).. 성어속담 2024. 10. 8.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 사자성어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을 의미하는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 사자성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과이불개(過而不改)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 2. 노미장두(露尾藏頭)꼬리는 드러낸 채 머리만 숨긴다는 말로, 잘못을 숨기려 해도 결국 드러나게 된다는 뜻. 3. 문과수비(文過遂非)잘못된 허물을 잘못이 아닌 것처럼 꾸미어 고치지 아니한다는 뜻. 4. 묘서동처(猫鼠同處)고양이와 쥐가 함께 있다는 말로, 도둑을 잡아야 할 사람이 도둑과 한패가 되었다는 뜻. 5. 욕개미창(欲蓋彌彰)잘못을 감추려 할수록 오히려 더욱 드러나게 된다는 뜻. 6. 이겸차안(以鎌遮眼)낫으로 눈을 가린다는 말로, 어리석은 방법으로 잘못을 숨기려고 한다는 뜻. 7. 자과부지(自過不知)자.. 성어속담 2024. 10. 1.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화를 낸다는 한자숙어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화를 낸다'는 뜻을 지닌 한자숙어는 무엇일까요?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화를 낸다는 한자숙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화를 낸다는 한자숙어는 바로 '적반하장(賊反荷杖'입니다. ※ 적반하장(賊反荷杖)'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는 말로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아무런 잘못이 없는 사람을 나무람'을 뜻함. (예) 적반하장도 이만저만이 아니다.(예) 사죄는커녕 적반하장으로 나온다.(예) 정말이지 적반하장도 유분수다.(예) 적반하장도 유분수지 이런 경우가 있는가?① 주객전도(主客顚倒)주인과 손님의 처지가 뒤바뀌었다는 뜻. ② 객반위주(客反爲主)손님이 도리어 주인이 되었다는 뜻. ③ 본말전도(本末顚倒)사물의 순서나 위치 또는 이치가 거꾸로 되었다는 뜻. 우리는 '적반.. 성어속담 2024. 8. 1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