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반성 사자성어 모음 자기반성을 뜻하는 사자성어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자기반성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개과자신(改過自新)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하게 됨을 뜻함. 2. 개과천선(改過遷善)지난날의 잘못을 뉘우치고 고쳐서 착하게 됨을 뜻함. 3. 내시반청(內視反聽)남을 꾸짖기보다는 자신을 돌아보고 반성함을 뜻함. 4. 반구저기(反求諸己)일이 잘못되었을 때 남의 탓을 하지 않고 잘못된 원인을 자기 자신에게서 찾아 고쳐 나감을 뜻함. 5. 삼성오신(三省吾身)하루에 세 번씩 자신을 반성함을 뜻함. 6. 인과자책(引過自責)자기의 잘못을 뉘우치고 스스로를 꾸짖음을 뜻함. 7. 자기반성(自己反省)자신의 언행에 대하여 스스로 돌이켜 봄을 뜻함. 8. 자숙자계(自肅自戒)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심하고 경계함을 뜻.. 성어속담 2024. 8. 2.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사자성어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는 말이 있는데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는 의미를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다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계학지욕(谿壑之慾)시냇물이 흐르는 산골짜기의 욕심이라는 말로, 물릴 줄 모르는 한없는 욕심이라는 뜻. ② 갈택이어(竭澤而漁)연못의 물을 말려 물고기를 잡는다는 말로, 일시적인 욕심으로 인해 먼 장래를 생각하지 않는다는 뜻. ③ 견물생심(見物生心)좋은 물건을 실제로 보면 가지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는 뜻. ④ 당랑재후(螳螂在後)눈앞의 욕심에만 눈이 어두워 뒤에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다는 뜻. ⑤ 대욕비도(大慾非道)욕심이 많고 무자비하다는 뜻. ⑥ 득롱망촉(得隴望蜀)농을 얻고 나니 촉을 갖고 싶다는 말로, 인간.. 성어속담 2024. 6. 27.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속담 뜻 그리고 사자성어 묘두현령 묘항현령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라는 속담이 있는데요,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속담은 어떤 뜻일까요?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뜻과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실행에 옮기지도 못할 것을 공연히 의논함'을 뜻합니다. 이 속담에서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는 것은 사람이 아니라 쥐입니다. 쥐가 고양이에게 방울을 단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지요? 그래서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는 '실행에 옮기지도 못할 것을 공연히 의논함'이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실행에 옮기지도 못할 것을 공연히 의논함을 뜻함. (예) 아무리 훌륭한 계획이라도 실행이 어렵다면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와 같이 헛된 것이다. (예) 실천하지도 못할 일을 논의하는 것은 고양이 목에 방울달기일 뿐이다. '고양이 목.. 성어속담 2024. 6. 5. 노심초사 뜻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노심초사 비슷한 사자성어 '노심초사'라는 사자성어가 있는데요, 노심초사는 어떤 뜻일까요? 노심초사 뜻, 노심초사 비슷한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운다'는 뜻입니다. ※ 노심초사(勞心焦思)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예) 너무 노심초사하지 마라.(예) 그는 그녀가 떠날까 노심초사한다.(예) 나는 거짓말이 탄로 날까 노심초사했다. ① 고심초사(苦心焦思)마음을 태우며 애써 생각함. ② 초심고려(焦心苦慮)마음을 졸여서 태우며 괴롭게 염려함. ① 가슴앓이안타까워 마음속으로만 애달파하는 일. ② 마음고생마음속으로 겪는 고생. ③ 초로(焦勞)속을 태우고 애를 씀. 이상으로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끝. 성어속담 2024. 5. 20.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 뜻 및 사자성어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는 속담이 있는데요,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는 어떤 뜻일까요? 또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제 꾀에 제가 넘어간다 뜻 및 사자성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꾀를 내어 남을 속이려다 도리어 자기가 그 꾀에 당하게 된다는 뜻. 즉, 지나치게 꾀를 부리면 오히려 손해를 보게 된다는 뜻입니다. (예) 결국 제 꾀에 제가 넘어갔구나.(예) 지나치게 꾀를 부리더니 제 꾀에 제가 넘어갔구먼. ① 과욕필망(過慾必亡)욕심이 너무나 지나쳐서 스스로 화를 부른다는 뜻. ② 자승자박(自繩自縛)자신이 한 말과 행동으로 인해 도리어 자신이 괴로움을 당하게 된다는 뜻. ③ 자업자득(自業自得)자신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 스스로가 돌려받는다는 뜻. ④.. 성어속담 2024. 5. 19. 십벌지목(十伐之木) 뜻 알아봐요 십벌지목(十伐之木)이라는 한자성어가 있는데요, 십벌지목은 어떤 뜻일까요? 십벌지목(十伐之木)의 뜻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열 번 찍어서 아니 넘어가는 나무가 없다'는 말로, 많이 노력하면 안 되는 일이 없다는 뜻입니다. '열 번 찍어서 아니 넘어가는 나무가 없다'는 말은 우리나라의 속담으로 '큰 나무도 여러 번 도끼질하면 넘어가듯이 안 될 것 같던 일도 여러 번 시도하면 결국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따라서 한자성어 '십벌지목'은 '열 번 찍어 아니 넘어가는 나무 없다'는 속담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① 마부작침(磨斧作針)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라도 꾸준히 노력하면 이룰 수 있다는 뜻. ② 마부위침(磨斧爲針)도끼를 갈아서 바늘을 만든다는 말로, 어려운 일이라.. 성어속담 2024. 4. 28. 죄를 지으면 반드시 벌을 받는다는 사자성어 모음 누구나 죄를 지으면 반드시 벌을 받게 되는데요, 죄를 지으면 반드시 벌을 받는다는 뜻을 지닌 사자성어에는 어떤 성어들이 있을까요? 죄를 지으면 반드시 벌을 받는다는 사자성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① 사불범정(邪不犯正)바르지 못한 것이 바른 것을 범하지 못한다는 말로, 정의가 반드시 이긴다는 뜻. ② 사필귀정(事必歸正)모든 일은 반드시 바른 길로 돌아가기 마련이라는 뜻. ③ 인과응보(因果應報)선을 행하면 선의 결과가 악을 행하면 악의 결과가 반드시 뒤따르게 된다는 뜻. ④ 자작자수(自作自受)자신이 저지른 일의 결과를 스스로가 돌려받게 된다는 뜻. ⑤ 주적심허(做贼心虚)도둑이 제발 저린다는 말로, 지은 죄가 있으면 자연히 마음이 조마조마해지기 마련이라는 뜻. ⑥ 자업자득(自業自得)자신이 저지른 .. 성어속담 2024. 4.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