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4대의무 국민의 5대의무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지켜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를 '국민의 의무'라고 하는데요, 국민의 4대 의무는 무엇이며 국민의 5대 의무는 무엇일까요? 국민의 4대의무와 국민의 5대의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민의 4대 의무는 국방의 의무, 납세의 의무, 교육의 의무, 근로의 의무를 말합니다. ① 국방의 의무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방의 의무를 집니다. (헌법 제39조) 국방의 의무는 외부의 적으로부터 국가를 방어하는 의무로서,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국방의 의무를 집니다. 국방의 의무는 국가의 안보를 보장하고,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② 납세의 의무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납세의 의무를 집니다. (헌법 제38조) 납세의 의.. 일반상식 2024. 11. 16. 별 잘보이는 시간 별보기 좋은 곳 참고하세요 어떤 시간대가 별이 가장 잘 보일까요? 또 별보기 좋은 곳은 어디일까요? 별 잘보이는 시간, 별보기 좋은 곳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별을 관찰하기 위해서는 하늘이 어둡고 구름이 없는 날을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월령이 작고(보름달 이후), 날씨가 맑은 날이 별을 관찰하기 좋습니다. 계절에 따라 적합한 시간대가 다릅니다. 봄과 가을에는 오후 9시부터 자정까지, 여름에는 오후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겨울에는 오후 8시부터 11시까지가 가장 적당한 시간대입니다. 도시의 불빛과 공해는 별을 관찰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으므로, 도시에서 멀리 떨어진 어두운 곳일수록 별을 보기 쉽습니다. 산이나 바다와 같이 조명이 적고 트인 공간에서는 보다 많은 별을 관찰 할 수 있습니다. 망원경이나 쌍안경을 사.. 일반상식 2024. 11. 13. 한국은행 콜금리 콜론 & 콜머니 상식 콜금리란 무엇을 뜻하는 말일까요? 또 콜론 & 콜머니는 무엇을 뜻하는 말일까요? 한국은행 콜금리, 콜론 & 콜머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돈이 많은 은행이라도 일시적으로 돈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이렇게 자금(돈)이 부족한 은행이 자금(돈) 여유가 있는 은행으로부터 하루 이틀 정도 자금을 융통받을 때 적용되는 금리가 바로 '콜금리'입니다. '콜금리'는 쉽게 말하면 은행 등 금융기관이 다른 은행(금융기관)으로부터 30일 이내의 단기자금(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인 것입니다.콜금리는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의 정책에 따라 올라가거나 내려갑니다. 따라서 한국은행이 공정금리(한국은행의 대출금리)를 올리면 시중은행에 자금이 부족해지므로 콜금리가 올라가고, 한국은행이 공정금리를 내리면 콜금리도 떨어집니다. .. 일반상식 2024. 11. 6. 지학 약관 불혹 지천명 이립 등 나이별 호칭 나이별 호칭으로는 어떤 단어들이 있을까요? 지학 약관 불혹 지천명, 이립 등 나이별 호칭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충년(沖年)열 살 안팎의 어린 나이라는 뜻. 2. 지학(志學)학문에 뜻을 둔다는 말로, 15세를 뜻함. 3. 과년(瓜年)혼인하기에 적당한 여자의 나이라는 말로, 16세 여자를 뜻함. 4. 약관(弱冠)남자 나이 스무살이라는 말로, 20세 남자를 뜻함. 5. 묘령(妙齡)스물 안팎의 나이에 있는 여자를 뜻함. 6. 방년(芳年)꽃이 화사하게 피는 좋은 때라는 말로, 이십 세 전후의 젊은 여자를 뜻함. 7. 입지(立志)뜻을 세우는 나이라는 말로, 30세를 뜻함. 8. 이립(而立)공자가 삼십 세에 자립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로, 30세를 뜻함. 9. 불혹(不惑)미혹되지 아니한다는 말로, 40세를 뜻.. 일반상식 2024. 11. 2. 보수 진보 뜻 쉽게 이해하기 여러분의 정치적 성향은 보수입니까? 진보입니까? 친한 친구일지라도 정치적 성향이 다르면 의견 대립으로 서로 크게 다툴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보수와 진보는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일까요? 보수 진보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① 보수새로운 것이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보다는 기존의 제도나 전통적인 것을 선호하며 지키려고 하는 성향 또는 정치적 성향을 말합니다. 보수의 한자는 保守(보수)이며, 개별한자의 뜻은 (保 : 보전할 보) (守 : 지킬 수)입니다. 한자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보수는 기존의 제도나 전통 등을 보전하고 지키려고 하는 성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치적인 측면에서 보면 보수는 전통적으로 계승되고 있는 사상이나 가치, 제도 등에 더 무게를 두는 정치적 성향으로써 새로운 것보다는 전통.. 일반상식 2024. 11. 1. 공무원 공가 사유 참고하세요 '공가'란 공무원들이 일반 국민의 자격으로 공무와 관련된 일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연가나 병가 이외에 공식적으로 얻은 휴가를 뜻하는데요, 공무원은 어떤 경우에 공가를 받을 수 있을까요? 공무원 공가 사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국가공무원복무규정 제19조에 따른 공무원 공가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병역법에 의해 징병검사, 동원훈련, 일반예비군훈련 등에 참가하는 경우. 민방위기본법에 의해 민방위교육에 참가하는 경우. ② 공무와 관련하여 국회, 법원, 검찰, 경찰 또는 그 밖의 국가기관에 소환되었을 경우. ③ 법률에 따라 투표에 참가할 경우.④ 승진시험·전직시험에 응시할 경우. ⑤ 원격지로 전보발령을 받고 부임할 경우. ⑥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건강진단,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른 건강검진, 결핵예방법에 .. 일반상식 2024. 10. 30. 헬기 속도 헬기 비행속도 참고하세요 헬기는 얼마나 빨리 날아갈 수 있을까요? 헬기 속도, 헬기 비행속도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헬기의 속도 기록은 1950년대부터 꾸준히 발전해 왔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군사 목적으로 개발되어 속도보다는 안정성과 수송 능력에 초점이 맞춰졌습니다. 본격적으로 속도 경쟁이 시작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입니다. 1979년 미국의 벨 헬리콥터(Bell Helicopter)사가 개발한 AH-1 코브라(Cobra)는 시속 332km의 기록을 세우며, 당시 세계 최고 속도를 달성했습니다.이후 1980년대에는 일본의 미쓰비시중공업(Mitsubishi Heavy Industries)사가 개발한 UH-60 블랙호크(Black Hawk)가 시속 365km의 기록을 세웠으며, 1990년대에는 러시아의 카모프(Kamov).. 일반상식 2024. 10. 29.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