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머리카락 빠지는 개수 참고하세요 머리를 감다보면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면 혹시 탈모가 아닌가 걱정하는데요, 하루 머리카락 빠지는 개수는 얼마나 될까요? 하루 머리카락 빠지는 개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하루에 정상적으로 빠지는 머리카락 개수는 약 50~100개 정도입니다. 빠진 머리카락의 끝이 곤봉 모양이면 정상적인 탈모이므로 다시 정상적인 머리카락이 나오지만 만약 빠진 머리카락의 끝이 곤봉 모양이 아니라면 모발에 손상이 있었거나 강제로 뽑혀나온 머리카락입니다. 하루 동안 정상적으로 빠지는 머리카락 개수를 약 50~80개로 보는 경우가 있는데요, 100개 까지는 정상입니다. 만약 하루 동안 빠지는 머리카락 개수가 100개를 훨씬 넘는다면 탈모를 의심해야 합니다.사람의 머리카락 총개수는 약.. 일반상식 2024. 9. 9. 생일 높임말 참고하세요 생일을 높여서 부르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생일 높임말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세상에 태어난 날. 또는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해마다의 그날. (생일을 의미하는 다른 말로는 '구로일'과 '생세일'이 있음)① 생신(生辰)생일(生日)을 높여 이르는 말. ② 생신날(生辰-)생일날을 높여 이르는 말. ③ 수일( 晬日)생일(生日)을 높여 이르는 말. (주로 편지글에서 사용) ④ 탄생일(誕生日)생일을 높여 이르는 말. ⑤ 탄일(誕日)생일을 높여 이르는 말. ⑥ 수신(晬辰)생신(生辰)을 높여 이르는 말. (주로 편지글에서 사용) ⑦ 호신(弧辰)주로 편지 따위의 글에 쓰여, 생신(生辰)을 이르는 말. ⑧ 탄신(誕辰)임금이나 성인과 같이 높거나 훌륭한 사람이 태어난 날. ⑨ 탄신일(誕辰日)성인이나.. 일반상식 2024. 8. 17. 지양 지향 지양과 지향의 차이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말 중에 '지양과 지향'이 있는데요, 무심코 사용하면 그 의미를 서로 바꿔 사용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지양 지향'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요? 지양 지향, 지양과 지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지양 뜻'더 높은 단계로 오르기 위해 어떠한 것을 하지 않음'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방해가 되는 것을 하지 않으려고 애쓰며 노력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2. 지양 예문① 공부를 잘 하려면 오락을 지양해야 한다.② 건강하려면 흡연과 음주를 지양해야 한다.③ 잘못된 관습은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④ 과소비를 지양하면 저축을 할 수 있다.⑤ 환경보호를 위해 무분별한 개발을 지양해야 한다. 3. 지양 한자한문으로는 止揚(지양)으로 .. 일반상식 2024. 7. 20. 공무원 병가 급여 처리 공무원 병가일수 상식 공무원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근무가 어려울 때 연간 60일의 범위 (공무상 질병·부상 병가는 180일 범위)에서 병가를 신청할 수 있는데요, 공무원 병가 급여 처리는 어떻게 될까요? 공무원 병가 급여 처리와 공무원 병가일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연간 60일까지의 병가에 대해서는 시간외근무수당과 실비를 제외한 나머지 급여를 100%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연간 60일의 병가를 모두 사용하고 치료를 더 하기 위해 질병휴직을 내면 급여는 70%만 지급됩니다. 공무상 질병 또는 공무상 부상으로 180일 범위에서 병가를 낸 경우에는 시간외근무수당과 실비를 제외한 나머지 급여를 100% 지급받을 수 있으며, 공무원연금공단에 치료비를 청구하면 본인이 부담한 치료비를 전액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 일반상식 2024. 7. 10. 환자의 권리와 의무 간략 설명 아파서 병원에 가면 누구나 환자가 되므로 환자의 권리와 의무는 평소 누구나 알고 있어야 할 사항입니다. 환자의 권리와 의무는 2008년에 제정된 이래 2015년 3월 1일 개정 시행되고 있으며, 의료법시행규칙 별표1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① 진료 받을 권리환자는 자신의 건강보호와 증진을 위하여 적절한 보건의료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고, 성별·나이·종교·신분 및 경제적 사정 등을 이유로 건강에 관한 권리를 침해받지 아니하며, 의료인은 정당한 사유없이 진료를 거부하지 못한다. ② 알권리 및 자기결정권환자는 담당 의사.간호사 등으로부터 질병 상태, 치료 방법, 의학적 연구대상 여부, 장기이식 여부, 부작용 등 예상 결과 및 진료 비용에 관하여 충분한 설명을 듣고 자세히 물어볼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동의 .. 일반상식 2024. 6. 17. 미세먼지 크기 미세먼지 입자크기 황사 미세먼지 차이 미세먼지의 크기는 어떻게 될까요? 미세먼지 입자크기는 일반먼지보다도 매우 작은데요, 미세먼지 크기 (미세먼지 입자크기), 황사 미세먼지 차이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미세먼지 입자크기는 머리카락 굵기의 약 1/6~1/25에 불과할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미세먼지는 지름이 10㎛보다 작은 미세먼지 (머리카락 지름의 약 1/6)와 지름이 2.5㎛ 보다 작은 초미세먼지 (머리카락 지름의 약 1/25)로 구분되므로 정말로 너무나 작습니다. 즉, 큰 편에 속하는 미세먼지는 머리카락 굵기의 약 1/6 정도이며, 작은 편에 속하는 초미세먼지는 머리카락 굵기의 약 1/25 정도라는 것입니다. 정말로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작다는 것입니다. ① 일반먼지 크기지름이 10㎛~50㎛ 정도입니다. ② 미세먼지 크기지름이 2.5㎛.. 일반상식 2024. 6. 13. 무사무탈 뜻 간략 설명 '무사무탈'이라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무사무탈은 어떤 뜻일까요? 무사무탈 뜻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무사무탈'은 '아무런 사고도 없으며 아무런 탈도 없다'는 뜻입니다. 주로 "무사무탈하시지요?" 또는 "무탈하시지요?" 라고 안부를 물을 때 사용합니다. 특히 멀리 객지에 있는 가족의 연락이 두절되면 정말 걱정이 많이 되는데요, 이럴 땐 그저 가슴을 조이며 무사무탈하기만을 바라는 수 밖에 없습니다. 그러다가 무사무탈하다는 연락이 오면 정말 반갑고 기쁘지요? 한자는 無事無頉(무사무탈)로 적으며, 개별한자의 뜻은 (無 : 없을 무) (事 : 일 사) (無 : 없을 무) (頉 : 탈날 탈)입니다. '무탈(無頉)'은 '아무런 탈이 없다'는 뜻 외에도 두 가지 뜻이 더 있는데요, '사람을 대하는 태.. 일반상식 2024. 6. 10. 이전 1 2 3 4 다음